Jump to content

Wp/jje/Wikipedia:들온말

From Wikimedia Incubator
< Wp | jje
Wp > jje > Wikipedia:들온말

이곳에서 제주어 위키백과에서 활용될 외래어 표기법을 규정한다.

개요

[edit | edit source]

기본적으로는 표준어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되, 차이점만을 문서에 싣는다. 문교부의 「들온말적기법」과는 무관하다. 대부분의 세칙은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규정을 따르며, 원본에서 지나치게 벗어나지 않는다.

규정

[edit | edit source]
  1. 외래어는 제주어 26 자모만으로 적는다.
  2.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3.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4.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영어

[edit | edit source]

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

기본적으로 국제음성기호를 따른다.

제1항 - 무성 파열음 ([p], [t], [k])

[edit | edit source]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gap[gæp] 갭
cat[kæt] 캣
book[buk] 북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apt[æpt] 앱트
setback[setbæk] 셋백
act[ækt] 액트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cape[keip] 케이프
make[meik] 메이크
sickness[siknis] 시크니스

제2항 - 유성 파열음([b], [d], [g])

[edit | edit source]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bulb[bʌlb] 벌브
land[lænd] 랜드
lobster[lɔbstə] ᄅᆞ브스터

제3항 - 마찰음([s], [z], [f], [v], [θ], [ð], [ʃ], [ʒ])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의 [s], [z], [f], [v], [θ], [ð]는 '으'를 붙여 적는다.
mask[mαːsk] 마스크
jazz[dʒæz] 쟤즈
graph[græf] 그래프
olive[ɔliv] ᄋᆞᆯ리브
thrill[θril] 스릴
bathe[beið] 베이드
어말의 [ʃ]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ʃ]는 '슈'로,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shrub[ʃrʌb] 슈러브
shark[ʃαːk] 샤크
shank[ʃæŋk] 섕크
[ʒ]는 '지'로 적는다.
mirage[mirαːʒ] 미라지
vision[viʒən] 비젼

제4항 - 파찰음([ʦ], [ʣ], [ʧ], [ʤ])

[edit | edit source]
[ʦ], [ʣ]는 '츠', '즈'로 적고, [ʧ], [ʤ]는 '치', '지'로 적는다.
Keats[kiːʦ] 키츠
odds[ɔʣ] ᄋᆞ즈
switch[swiʧ] 스위치
bridge[briʤ] 브리지
chart[ʧαːt] 차트
virgin[vəːʤin] 버진

제5항 - 비음([m], [n], [ŋ])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steam[stiːm] 스팀
corn[kɔːn] ᄏᆞᆫ
ring[riŋ] 링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ㆁ'으로 적는다.
hanging[hæŋiŋ] 행잉
longing[lɔŋiŋ] ᄅᆞᆼ잉

제6항 - 유음([l])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hotel[houtel] 호텔
pulp[pʌlp] 펄프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slide[slaid] 슬라이드
film[film] 필름
helm[helm] 헬름

제7항 - 장모음

[edit | edit source]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team[tiːm] 팀
route[ruːt] 루트

제8항 - 중모음([ai], [au], [ei], [ɔi], [ou], [auə])

[edit | edit source]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ɔi]는 'ᄋᆞ이'로, [ou]는 '오'로, [auə]는 '아워'로 적는다.
time[taim] 타임
house[haus] 하우스
skate[skeit] 스케이트
oil[ɔil] ᄋᆞ일
boat[bout] 보트
tower[tauə] 타워

제9항 - 반모음([w], [j])

[edit | edit source]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ə], [wɔ], [wou]는 '워', [wα]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word[wəːd] 워드
want[wɔnt] 원트
woe[wou] 워
wander[wαndə] 완더
wag[wæg] 왜그
west[west] 웨스트
witch[wiʧ] 위치
wool[wul] 울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g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swing[swiŋ] 스윙
twist[twist] 트위스트
penguin[peŋgwin] 펭귄
whistle[hwisl] 휘슬
quarter[kwɔːtə] 쿼터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 'ᄋᆢ'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jə]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yard[jαːd] 야드
yank[jæŋk] 얭크
yearn[jəːn] 연
yellow[jelou] 옐로
yawn[jɔːn] ᄋᆢᆫ
you[juː] 유
year[jiə] 이어
Indian[indjən] 인디언
battalion[bətæljən] 버탤리언
union[juːnjən] 유니언

제10항 - 복합어

[edit | edit source]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bookmaker[bukmeikə] 북메이커
flashgun[flæʃgʌn] 플래시건
topknot[tɔpnɔt] ᄐᆞᆸᄂᆞᆺ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Los Alamos[lɔs æləmous] ᄅᆞ스 앨러모스 / ᄅᆞ스앨러모스
top class[tɔpklæs] ᄐᆞᆸ 클래스/ᄐᆞᆸ클래스

독일어

[edit | edit source]

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

기본적으로 국제음성기호를 따른다.

제1항 - [r]

[edit | edit source]
자음 앞의 [r]는 '으'를 붙여 적는다.
Hormon[hɔrmoːn] ᄒᆞ르몬
Hermes[hɛrmɛs] 헤르메스
어말의 [r]와 '-er[ər]'는 '어'로 적는다.
Herr[hɛr] 헤어
Rasur[razuːr] 라주어
Tür[tyːr] 튀어
Ohr[oːr] 오어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verarbeiten[fɛrarbaitən] 페어아르바이텐
zerknirschen[ʦɛrknirʃən] 체어크니르셴
Fürsorge[fyːrzorgə] 퓌어조르게

제2항 - 파열음

[edit | edit source]
어말의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Rostock[rɔstɔk] ᄅᆞ스ᄐᆞ크
Stadt[ʃtat] 슈타트

제3항 - berg, burg

[edit | edit source]
'berg', 'burg'는 '베르크', '부르크'로 통일해서 적는다.
Heidelberg[haidəlbɛrk, -bɛrç] 하이델베르크
Hamburg[hamburk, -burç] 함부르크

제4항 - [ʃ]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는 '슈'로 적는다.
Mensch[menʃ] 멘슈
Mischling[miʃliŋ] 미슐링
[y],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Schüler[ʃyːlər] 쉴러
schön[ʃøːn] 쇤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쇼, 슈' 등으로 적는다.
Schatz[ʃaʦ] 샤츠
schon[ʃoːn] 숀
Schule[ʃuːlə] 슐레
Schelle[ʃɛlə] 셸레

제5항 - [ɔy]

[edit | edit source]
[ɔy]로 발음되는 äu, eu는 'ᄋᆞ이'로 적는다.
läuten[lɔyt∂n] ᄅᆞ이텐
Fräulein[frɔylain] 프ᄅᆞ일라인
Europa[ɔyroːpa] ᄋᆞ이로파
Freundin[frɔyndin] 프ᄅᆞ인딘

프랑스어

[edit | edit source]

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

기본적으로 국제음성기호를 따른다.

제1항 - 파열음([p], [t], [k]; [b], [d], [g])

[edit | edit source]
어말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는다.
soupe[sup] 수프
tête[tɛt] 테트
avec[avɛk] 아베크
baobab[baɔbab] 바ᄋᆞ바브
ronde[rɔ̃ːd] ᄅᆞᆼ드
bague[bag] 바그
구강 모음과 무성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구강 모음+무성 파열음+무성 파열음 또는 무성 마찰음'의 경우)은 받침으로 적는다.
septembre[sɛptːbr] 셉탕브르
apte[apt] 압트
octobre[ɔktɔbr] ᄋᆞᆨᄐᆞ브르
action[aksjɔ̃] 악시ᄋᆞᆼ

제2항 - 마찰음([ʃ], [ʒ])

[edit | edit source]
어말과 자음 앞의 [ʃ], [ʒ]는 '슈', '주'로 적는다.
manche[mãːʃ] 망슈
piège[pjɛːʒ] 피에주
acheter[aʃte] 아슈테
dégeler[deʒle] 데줄레
[ʃ]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슈'로 적는다.
chemise[ʃəmiːz] 슈미즈
chevalier[ʃəvalje] 슈발리에
choix[ʃwa] 슈아
chouette[ʃwɛt] 슈에트
[ʃ]가 [y], [œ], [ø] 및 [j], [ɥ] 앞에 올 때에는 'ㅅ'으로 적는다.
chute[ʃyt] 쉬트
chuchoter[ʃyʃɔte] 쉬쇼테
pêcheur[pɛʃœːr] 페쇠르
shunt[ʃœ̴ːt] 쇵트
fâcheux[fαʃø] 파쇠
chien[ʃjɛ̃] 시앵
chuinter[ʃЧɛ̃te] 쉬앵테

제3항 - 비자음([ɲ])

[edit | edit source]
어말과 자음 앞의 [ɲ]는 '뉴'로 적는다.
campagne[kɑ̃paɲ] 캉파뉴
dignement[diɲmɑ̃] 디뉴망
[ɲ]가 '아, 에, 오, 우'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각각 '냐, 녜, 뇨, 뉴'로 적는다.
saignant[sɛɲɑ̃] 세냥
peigner[peɲe] 페녜
agneau[aɲo] 아뇨
mignon[miɲɔ̃] 미ᄂᆢᆼ
[ɲ]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소리와 합쳐 '뉴'로 적는다.
lorgnement[lɔrɲəmɑ̃] ᄅᆞ르뉴망
baignoire[bɛɲwaːr] 베뉴아르
그 밖의 [ɲ]는 'ㄴ'으로 적는다.
magnifique[maɲifik] 마니피크
guignier[giɲje] 기니에
gagneur[gaɲœːr] 가뇌르
montagneux[mɔ̃taɲø] ᄆᆞᆼ타뇌
peignures[pɛɲyːr] 페뉘르

제4항 - 반모음([j])

[edit | edit source]
어말에 올 때에는 '유'로 적는다.
Marseille[marsɛj] 마르세유
taille[tαːj] 타유
모음 사이의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예, 얭, 야, 양, 요, 용, 유, 이, ᄋᆢ, ᄋᆢᆼ' 등으로 적는다. 다만, 뒷 모음이 [ø], [œ]일 때에는 '이'로 적는다.
payer[peje] 페예
billet[bijɛ] 비예
moyen[mwajɛ̃] 무아얭
pleiade[plejad] 플레야드
ayant[ɛjã] 에양
noyau[nwajo] 누아요
voyou[vwaju] 부아유
cueillir[kœjiːr] 쾨이르
crayon[krɛjɔ̃] 크레ᄋᆢᆼ
aïeul[ajœl] 아이욀
aïeux[ajø] 아이외
그 밖의 [j]는 '이'로 적는다.
hier[jɛːr] 이에르
Montesquieu[mtɛskjø] 몽테스키외

제5항 - 반모음([w])

[edit | edit source]
[w]는 '우'로 적는다.
alouette[alwɛt] 알루에트
douane[dwan] 두안
quoi[kwa] 쿠아
toi[twa] 투아

에스파냐어

[edit | edit source]

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

제1항 - gu, qu

[edit | edit source]
gu, qu는 i, e 앞에서는 각각 'ㄱ, ㅋ'으로 적고, o 앞에서는 '구, 쿠'로 적는다. 다만, a 앞에서는 그 a와 합쳐 '과, 콰'로 적는다.
guerra 게라
queso 케소
Guipúzcoa 기푸스코아
quisquilla 키스키야
antiguo 안티구오
Quórum 쿠오룸
Nicaragua 니카라과
Quarai 콰라이

제2항 - 중복자음

[edit | edit source]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cc-는 'ㄱㅅ'으로 적는다.
carrera 카레라
carretera 카레테라
acción 악시온

제3항 - c, g

[edit | edit source]
c와 g 다음에 모음 e와 i가 올 때에는 c는 'ㅅ'으로, g는 'ㅎ'으로 적고, 그 외는 'ㅋ'과 'ㄱ'으로 적는다.
Cecilia 세실리아
cifra 시프라
geórgico 헤오르히코
giganta 히간타
coquito 코키토
gato 가토

제4항 - x

[edit | edit source]
x가 모음 앞에 오되 어두일 때에는 'ㅅ'으로 적고, 어중일 때에는 'ㄱㅅ'으로 적는다.
xilófono 실로포노
laxante 락산테

제5항 - l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ocal 오칼
colcren 콜크렌
blandón 블란돈
Cecilia 세실리아

제6항 - nc, ng

[edit | edit source]
c와 g 앞에 오는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blanco 블랑코
yungla 융글라

이탈리아어

[edit | edit source]

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

제1항 - gl

[edit | edit source]
i 앞에서는 'ㄹㄹ'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글ㄹ'로 적는다.
paglia 팔리아
egli 엘리
gloria 글로리아
glossa 글로사

제2항 - gn

[edit | edit source]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냐', '녜', '뇨', '뉴', '니'로 적는다.
montagna 몬타냐
gneiss 녜이스
gnocco 뇨코
gnu 뉴
ogni 오니

제3항 - sc

[edit | edit source]
sce는 '셰'로, sci는 '시'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스ㅋ'으로 적는다.
crescendo 크레셴도scivolo 시볼로Tosca 토스카scudo 스쿠도

제4항 - 중복자음

[edit | edit source]
같은 자음이 겹쳤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Puccini 푸치니
buffa 부파
allegretto 알레그레토
carro 카로
rosso 로소
Abruzzo 아브루초
gomma 곰마
bisnonno 비스논노

제5항 - c, g

[edit | edit source]
c와 g는 e, i 앞에서 각각 '치', '지'으로 적는다.
cenere 체네레
genere 제네레
cima 치마
gita 지타
c와 g 다음에 ia, io, iu가 올 때에는 각각 '차, 초, 추', '자, 조, 주'로 적는다.
caccia 카차
micio 미초
ciuffo 추포
giardino 자르디노
giorno 조르노
giubba 주바

제6항 - qu

[edit | edit source]
qu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콰, 퀘, 퀴' 등으로 적는다. 다만, o 앞에서는 '쿠'로 적는다.
soqquadro 소콰드로
quello 퀠로
quieto 퀴에토
quota 쿠오타

제7항 - l, ll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 ll은 받침으로 적고, 어중의 l, l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sol 솔
polca 폴카
Carlo 카를로
quello 퀠로

일본어

[edit | edit source]

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가나 한글
어두 어중·어말
ア イ ウ エ オ 아 이 우 에 오 아 이 우 에 오
カ キ ク ケ コ 가 기 구 게 고 카 키 쿠 케 코
サ シ ス セ ソ 사 시 스 세 소 사 시 스 세 소
タ チ ツ テ ト 다 지 쯔 데 도 타 치 쯔 테 토
ナ ニ ヌ ネ ノ 나 니 누 네 노 나 니 누 네 노
ハ ヒ フ ヘ ホ 하 히 후 헤 호 하 히 후 헤 호
マ ミ ム メ モ 마 미 무 메 모 마 미 무 메 모
ヤ イ ユ エ ヨ 야 이 유 에 요 야 이 유 에 요
ラ リ ル レ ロ 라 리 루 레 로 라 리 루 레 로
ワ (ヰ) ウ (ヱ) ヲ 와 (이) 우 (에) 오 와 (이) 우 (에) 오
ガ ギ グ ゲ ゴ 가 기 구 게 고 가 기 구 게 고
ザ ジ ズ ゼ ゾ 자 지 즈 제 조 자 지 즈 제 조
ダ ヂ ヅ デ ド 다 지 즈 데 도 다 지 즈 데 도
バ ビ ブ ベ ボ 바 비 부 베 보 바 비 부 베 보
パ ピ プ ペ ポ 파 피 푸 페 포 파 피 푸 페 포
キャ キュ キョ 갸 규 교 캬 큐 쿄
ギャ ギュ ギョ 갸 규 교 갸 규 교
シャ シュ ショ 샤 슈 쇼 샤 슈 쇼
ジャ ジュ ジョ 쟈 쥬 죠 쟈 쥬 죠
チャ チュ チョ 쟈 쥬 죠 챠 츄 쵸
ニャ ニュ ニョ 냐 뉴 뇨 냐 뉴 뇨
ヒャ ヒュ ヒョ 햐 휴 효 햐 휴 효
ビャ ビュ ビョ 뱌 뷰 뵤 뱌 뷰 뵤
ピャ ピュ ピョ 퍄 퓨 표 퍄 퓨 표
ミャ ミュ ミョ 먀 뮤 묘 먀 뮤 묘
リャ リュ リョ 랴 류 료 랴 류 료

제1항 - 촉음

[edit | edit source]
촉음(促音) [ッ]는 'ㅅ'으로 통일해서 적는다.
サッポロ 삿포로
トットリ 돗토리
ヨッカイチ 욧카이치

제2항 - 장모음

[edit | edit source]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キュウシュウ(九州) 규슈
ニイガタ(新潟) 니가타
トウキョウ(東京) 도쿄
オオサカ(大阪) 오사카
가타카나에서 장음부호로 적히지 않은 것은 별도의 음절로 간주한다.
トウ 도우
トー 도

제3항 - 관용표기

[edit | edit source]
역사적으로 쓰이던 관용표기를 허용한다.
豊臣秀吉 풍신수길
大阪 대판

류큐어

[edit | edit source]

아이누어

[edit | edit source]

중국어

[edit | edit source]

이곳에서는 보통화(普通話)를 뜻한다.

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
중국어의 주음부호와 한글 대조표
성모(聲母)
음의 분류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자모
웨이드식
로마자
한글 음의 분류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자모
웨이드식
로마자
한글
중순성
(重脣聲)
b p 설면성
(舌面聲)
j ch
p p' q ch'
m m x hs
순치성(脣齒聲) f f 교설첨성
(翹舌尖聲)
zh[zhi] ch[chih] ㅈ[즈]
설첨성
(舌尖聲)
d t ch[chi] ch'[ch'ih] ㅊ[츠]
t t' sh[shi] sh[shih] ㅅ[스]
n n r[ri] j[jih] ㄹ[르]
l l 설치성
(舌齒聲)
z[zi] ts[tzŭ] ㅉ[쯔]
설근성
(舌根聲)
g k c[ci] ts'[tz'ŭ] ㅊ[츠]
k k' s[si] ss[ssŭ] ㅆ[쓰]
h h
운모(韻母)
음의 분류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자모
웨이드식
로마자
한글 음의 분류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자모
웨이드식
로마자
한글
단운
(單韻)
a a 복운
(複韻)
ai ai 아이
o o ei ei 에이
e e ao ao 아오
ê e ou ou 어우
yi(i) i 부성운
(附聲韻)
an an
wu(u) wu(u) en en
yu(u) yü(ü) ang ang
eng eng
권설운(捲舌韻) er(r) erh
결합운모(結合韻母)
제치류
(齊齒類)
ㄧㄚ ya(ia) ya(ia) 합구류
(合口類)
ㄨㄚ wa(ua) wa(ua)
ㄧㄛ yo yo ㄨㄛ wo(uo) wo(uo)
ㄧㄝ ye(ie) yeh(ieh) ㄨㄞ wai(uai) wai(uai) 와이
ㄧㄞ yai yai 야이 ㄨㄟ wei(ui) wei(uei, ui) 웨이(우이)
ㄧㄠ yao(iao) yao(iao) 야오 ㄨㄢ wan(uan) wan(uan)
ㄧㄡ you(ou, iu) yu(iu) ㄨㄣ wen(un) wen(un) 원(운)
ㄧㄢ yan(ian) yen(ien) ㄨㄤ wang(uang) wang(uang)
ㄧㄣ yin(in) yin(in) ㄨㄥ weng(ong) weng(ung) 웡(웅)
ㄧㄤ yang(iang) yang(iang) 촬구류
(撮口類)
ㄩㄝ yue(üe) yueh(ueh) 위에
ㄧㄥ ying(ing) ying(ing) ㄩㄢ yuan(üan) yuan(uan) 위안
ㄩㄣ yun(ün) yun(un)
ㄩㄥ yong(iong) yung(iung)
[ ]는 단독 발음될 경우의 표기임.
( )는 자음이 선행할 경우의 표기임.

광둥어

[edit | edit source]

국립국어원에서 규정한 외래어 표기법에 광둥어 표기법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필요에 의해 자체규정한다.

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
자음 반모음
j
월병 b p m f d t n l g k ng h z c s gw kw
IPA [p] [pʰ] [p̚] [m] [m̩] [f] [t] [tʰ] [t̚] [n] [l] [k] [kʰ] [k̚] [ŋ] [ŋ̩] [h] [ts] [tsʰ] [s] [kʷ] [kʷʰ] [j]
한글 ㅇ/응 ㅈ/즈 ㅊ/츠 ㅅ/스
모음 w
월병 aa aai aau a ai au e ei eu i iu ou o oi oe eo eoi u ui yu
IPA [aː] [aːi] [aːu] [ɐ] [ɐi] [ɐu] [ɛː] [e] [ei] [ɛːu] [iː] [iːu] [ou] [ɔː] [ɔːy] [œː] [ɵ] [ɵy] [o] [uː] [uːy] [yː] [w]
한글 아이 아우 아이 아우 에이 에우 이우 오우 ᄋᆞ ᄋᆞ이 어이 우이

제1항 - 반모음

[edit | edit source]
'gw, kw, w, j'는 뒤따르는 운모와 합쳐서 적는다.
困難 콴난
音樂 얌응ᄋᆞᆨ
'wo'는 'ㅝ'로 적는다.
國王 궉웡

제2항 - 성조

[edit | edit source]
성조는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