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jje/Wikipedia:들온말
Appearance
이곳에서 제주어 위키백과에서 활용될 외래어 표기법을 규정한다.
개요
[edit | edit source]기본적으로는 표준어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되, 차이점만을 문서에 싣는다. 문교부의 「들온말적기법」과는 무관하다. 대부분의 세칙은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규정을 따르며, 원본에서 지나치게 벗어나지 않는다.
규정
[edit | edit source]- 외래어는 제주어 26 자모만으로 적는다.
-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영어
[edit | edit source]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기본적으로 국제음성기호를 따른다.
제1항 - 무성 파열음 ([p], [t], [k])
[edit | edit source]-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 gap[gæp] 갭
- cat[kæt] 캣
- book[buk] 북
-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 apt[æpt] 앱트
- setback[setbæk] 셋백
- act[ækt] 액트
-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 cape[keip] 케이프
- make[meik] 메이크
- sickness[siknis] 시크니스
제2항 - 유성 파열음([b], [d], [g])
[edit | edit source]-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 bulb[bʌlb] 벌브
- land[lænd] 랜드
- lobster[lɔbstə] ᄅᆞ브스터
제3항 - 마찰음([s], [z], [f], [v], [θ], [ð], [ʃ], [ʒ])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의 [s], [z], [f], [v], [θ], [ð]는 '으'를 붙여 적는다.
- mask[mαːsk] 마스크
- jazz[dʒæz] 쟤즈
- graph[græf] 그래프
- olive[ɔliv] ᄋᆞᆯ리브
- thrill[θril] 스릴
- bathe[beið] 베이드
- 어말의 [ʃ]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ʃ]는 '슈'로,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 shrub[ʃrʌb] 슈러브
- shark[ʃαːk] 샤크
- shank[ʃæŋk] 섕크
- [ʒ]는 '지'로 적는다.
- mirage[mirαːʒ] 미라지
- vision[viʒən] 비젼
제4항 - 파찰음([ʦ], [ʣ], [ʧ], [ʤ])
[edit | edit source]- [ʦ], [ʣ]는 '츠', '즈'로 적고, [ʧ], [ʤ]는 '치', '지'로 적는다.
- Keats[kiːʦ] 키츠
- odds[ɔʣ] ᄋᆞ즈
- switch[swiʧ] 스위치
- bridge[briʤ] 브리지
- chart[ʧαːt] 차트
- virgin[vəːʤin] 버진
제5항 - 비음([m], [n], [ŋ])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 steam[stiːm] 스팀
- corn[kɔːn] ᄏᆞᆫ
- ring[riŋ] 링
-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ㆁ'으로 적는다.
- hanging[hæŋiŋ] 행잉
- longing[lɔŋiŋ] ᄅᆞᆼ잉
제6항 - 유음([l])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 hotel[houtel] 호텔
- pulp[pʌlp] 펄프
-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 slide[slaid] 슬라이드
- film[film] 필름
- helm[helm] 헬름
제7항 - 장모음
[edit | edit source]-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 team[tiːm] 팀
- route[ruːt] 루트
제8항 - 중모음([ai], [au], [ei], [ɔi], [ou], [auə])
[edit | edit source]-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ɔi]는 'ᄋᆞ이'로, [ou]는 '오'로, [auə]는 '아워'로 적는다.
- time[taim] 타임
- house[haus] 하우스
- skate[skeit] 스케이트
- oil[ɔil] ᄋᆞ일
- boat[bout] 보트
- tower[tauə] 타워
제9항 - 반모음([w], [j])
[edit | edit source]-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ə], [wɔ], [wou]는 '워', [wα]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 word[wəːd] 워드
- want[wɔnt] 원트
- woe[wou] 워
- wander[wαndə] 완더
- wag[wæg] 왜그
- west[west] 웨스트
- witch[wiʧ] 위치
- wool[wul] 울
-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g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 swing[swiŋ] 스윙
- twist[twist] 트위스트
- penguin[peŋgwin] 펭귄
- whistle[hwisl] 휘슬
- quarter[kwɔːtə] 쿼터
-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 'ᄋᆢ'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jə]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 yard[jαːd] 야드
- yank[jæŋk] 얭크
- yearn[jəːn] 연
- yellow[jelou] 옐로
- yawn[jɔːn] ᄋᆢᆫ
- you[juː] 유
- year[jiə] 이어
- Indian[indjən] 인디언
- battalion[bətæljən] 버탤리언
- union[juːnjən] 유니언
제10항 - 복합어
[edit | edit source]-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 bookmaker[bukmeikə] 북메이커
- flashgun[flæʃgʌn] 플래시건
- topknot[tɔpnɔt] ᄐᆞᆸᄂᆞᆺ
-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 Los Alamos[lɔs æləmous] ᄅᆞ스 앨러모스 / ᄅᆞ스앨러모스
- top class[tɔpklæs] ᄐᆞᆸ 클래스/ᄐᆞᆸ클래스
독일어
[edit | edit source]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기본적으로 국제음성기호를 따른다.
제1항 - [r]
[edit | edit source]- 자음 앞의 [r]는 '으'를 붙여 적는다.
- Hormon[hɔrmoːn] ᄒᆞ르몬
- Hermes[hɛrmɛs] 헤르메스
- 어말의 [r]와 '-er[ər]'는 '어'로 적는다.
- Herr[hɛr] 헤어
- Rasur[razuːr] 라주어
- Tür[tyːr] 튀어
- Ohr[oːr] 오어
-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 verarbeiten[fɛrarbaitən] 페어아르바이텐
- zerknirschen[ʦɛrknirʃən] 체어크니르셴
- Fürsorge[fyːrzorgə] 퓌어조르게
제2항 - 파열음
[edit | edit source]- 어말의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Rostock[rɔstɔk] ᄅᆞ스ᄐᆞ크
- Stadt[ʃtat] 슈타트
제3항 - berg, burg
[edit | edit source]- 'berg', 'burg'는 '베르크', '부르크'로 통일해서 적는다.
- Heidelberg[haidəlbɛrk, -bɛrç] 하이델베르크
- Hamburg[hamburk, -burç] 함부르크
제4항 - [ʃ]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는 '슈'로 적는다.
- Mensch[menʃ] 멘슈
- Mischling[miʃliŋ] 미슐링
- [y],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 Schüler[ʃyːlər] 쉴러
- schön[ʃøːn] 쇤
-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쇼, 슈' 등으로 적는다.
- Schatz[ʃaʦ] 샤츠
- schon[ʃoːn] 숀
- Schule[ʃuːlə] 슐레
- Schelle[ʃɛlə] 셸레
제5항 - [ɔy]
[edit | edit source]- [ɔy]로 발음되는 äu, eu는 'ᄋᆞ이'로 적는다.
- läuten[lɔyt∂n] ᄅᆞ이텐
- Fräulein[frɔylain] 프ᄅᆞ일라인
- Europa[ɔyroːpa] ᄋᆞ이로파
- Freundin[frɔyndin] 프ᄅᆞ인딘
프랑스어
[edit | edit source]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기본적으로 국제음성기호를 따른다.
제1항 - 파열음([p], [t], [k]; [b], [d], [g])
[edit | edit source]- 어말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는다.
- soupe[sup] 수프
- tête[tɛt] 테트
- avec[avɛk] 아베크
- baobab[baɔbab] 바ᄋᆞ바브
- ronde[rɔ̃ːd] ᄅᆞᆼ드
- bague[bag] 바그
- 구강 모음과 무성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구강 모음+무성 파열음+무성 파열음 또는 무성 마찰음'의 경우)은 받침으로 적는다.
- septembre[sɛptːbr] 셉탕브르
- apte[apt] 압트
- octobre[ɔktɔbr] ᄋᆞᆨᄐᆞ브르
- action[aksjɔ̃] 악시ᄋᆞᆼ
제2항 - 마찰음([ʃ], [ʒ])
[edit | edit source]- 어말과 자음 앞의 [ʃ], [ʒ]는 '슈', '주'로 적는다.
- manche[mãːʃ] 망슈
- piège[pjɛːʒ] 피에주
- acheter[aʃte] 아슈테
- dégeler[deʒle] 데줄레
- [ʃ]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슈'로 적는다.
- chemise[ʃəmiːz] 슈미즈
- chevalier[ʃəvalje] 슈발리에
- choix[ʃwa] 슈아
- chouette[ʃwɛt] 슈에트
- [ʃ]가 [y], [œ], [ø] 및 [j], [ɥ] 앞에 올 때에는 'ㅅ'으로 적는다.
- chute[ʃyt] 쉬트
- chuchoter[ʃyʃɔte] 쉬쇼테
- pêcheur[pɛʃœːr] 페쇠르
- shunt[ʃœ̴ːt] 쇵트
- fâcheux[fαʃø] 파쇠
- chien[ʃjɛ̃] 시앵
- chuinter[ʃЧɛ̃te] 쉬앵테
제3항 - 비자음([ɲ])
[edit | edit source]- 어말과 자음 앞의 [ɲ]는 '뉴'로 적는다.
- campagne[kɑ̃paɲ] 캉파뉴
- dignement[diɲmɑ̃] 디뉴망
- [ɲ]가 '아, 에, 오, 우'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각각 '냐, 녜, 뇨, 뉴'로 적는다.
- saignant[sɛɲɑ̃] 세냥
- peigner[peɲe] 페녜
- agneau[aɲo] 아뇨
- mignon[miɲɔ̃] 미ᄂᆢᆼ
- [ɲ]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소리와 합쳐 '뉴'로 적는다.
- lorgnement[lɔrɲəmɑ̃] ᄅᆞ르뉴망
- baignoire[bɛɲwaːr] 베뉴아르
- 그 밖의 [ɲ]는 'ㄴ'으로 적는다.
- magnifique[maɲifik] 마니피크
- guignier[giɲje] 기니에
- gagneur[gaɲœːr] 가뇌르
- montagneux[mɔ̃taɲø] ᄆᆞᆼ타뇌
- peignures[pɛɲyːr] 페뉘르
제4항 - 반모음([j])
[edit | edit source]- 어말에 올 때에는 '유'로 적는다.
- Marseille[marsɛj] 마르세유
- taille[tαːj] 타유
- 모음 사이의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예, 얭, 야, 양, 요, 용, 유, 이, ᄋᆢ, ᄋᆢᆼ' 등으로 적는다. 다만, 뒷 모음이 [ø], [œ]일 때에는 '이'로 적는다.
- payer[peje] 페예
- billet[bijɛ] 비예
- moyen[mwajɛ̃] 무아얭
- pleiade[plejad] 플레야드
- ayant[ɛjã] 에양
- noyau[nwajo] 누아요
- voyou[vwaju] 부아유
- cueillir[kœjiːr] 쾨이르
- crayon[krɛjɔ̃] 크레ᄋᆢᆼ
- aïeul[ajœl] 아이욀
- aïeux[ajø] 아이외
- 그 밖의 [j]는 '이'로 적는다.
- hier[jɛːr] 이에르
- Montesquieu[mtɛskjø] 몽테스키외
제5항 - 반모음([w])
[edit | edit source]- [w]는 '우'로 적는다.
- alouette[alwɛt] 알루에트
- douane[dwan] 두안
- quoi[kwa] 쿠아
- toi[twa] 투아
에스파냐어
[edit | edit source]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제1항 - gu, qu
[edit | edit source]- gu, qu는 i, e 앞에서는 각각 'ㄱ, ㅋ'으로 적고, o 앞에서는 '구, 쿠'로 적는다. 다만, a 앞에서는 그 a와 합쳐 '과, 콰'로 적는다.
- guerra 게라
- queso 케소
- Guipúzcoa 기푸스코아
- quisquilla 키스키야
- antiguo 안티구오
- Quórum 쿠오룸
- Nicaragua 니카라과
- Quarai 콰라이
제2항 - 중복자음
[edit | edit source]-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cc-는 'ㄱㅅ'으로 적는다.
- carrera 카레라
- carretera 카레테라
- acción 악시온
제3항 - c, g
[edit | edit source]- c와 g 다음에 모음 e와 i가 올 때에는 c는 'ㅅ'으로, g는 'ㅎ'으로 적고, 그 외는 'ㅋ'과 'ㄱ'으로 적는다.
- Cecilia 세실리아
- cifra 시프라
- geórgico 헤오르히코
- giganta 히간타
- coquito 코키토
- gato 가토
제4항 - x
[edit | edit source]- x가 모음 앞에 오되 어두일 때에는 'ㅅ'으로 적고, 어중일 때에는 'ㄱㅅ'으로 적는다.
- xilófono 실로포노
- laxante 락산테
제5항 - l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ocal 오칼
- colcren 콜크렌
- blandón 블란돈
- Cecilia 세실리아
제6항 - nc, ng
[edit | edit source]- c와 g 앞에 오는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 blanco 블랑코
- yungla 융글라
이탈리아어
[edit | edit source]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제1항 - gl
[edit | edit source]- i 앞에서는 'ㄹㄹ'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글ㄹ'로 적는다.
- paglia 팔리아
- egli 엘리
- gloria 글로리아
- glossa 글로사
제2항 - gn
[edit | edit source]-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냐', '녜', '뇨', '뉴', '니'로 적는다.
- montagna 몬타냐
- gneiss 녜이스
- gnocco 뇨코
- gnu 뉴
- ogni 오니
제3항 - sc
[edit | edit source]- sce는 '셰'로, sci는 '시'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스ㅋ'으로 적는다.
- crescendo 크레셴도scivolo 시볼로Tosca 토스카scudo 스쿠도
제4항 - 중복자음
[edit | edit source]- 같은 자음이 겹쳤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 Puccini 푸치니
- buffa 부파
- allegretto 알레그레토
- carro 카로
- rosso 로소
- Abruzzo 아브루초
- gomma 곰마
- bisnonno 비스논노
제5항 - c, g
[edit | edit source]- c와 g는 e, i 앞에서 각각 '치', '지'으로 적는다.
- cenere 체네레
- genere 제네레
- cima 치마
- gita 지타
- c와 g 다음에 ia, io, iu가 올 때에는 각각 '차, 초, 추', '자, 조, 주'로 적는다.
- caccia 카차
- micio 미초
- ciuffo 추포
- giardino 자르디노
- giorno 조르노
- giubba 주바
제6항 - qu
[edit | edit source]- qu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콰, 퀘, 퀴' 등으로 적는다. 다만, o 앞에서는 '쿠'로 적는다.
- soqquadro 소콰드로
- quello 퀠로
- quieto 퀴에토
- quota 쿠오타
제7항 - l, ll
[edit | edit source]-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 ll은 받침으로 적고, 어중의 l, l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sol 솔
- polca 폴카
- Carlo 카를로
- quello 퀠로
일본어
[edit | edit source]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가나 | 한글 | |
---|---|---|
어두 | 어중·어말 | |
ア イ ウ エ オ | 아 이 우 에 오 | 아 이 우 에 오 |
カ キ ク ケ コ | 가 기 구 게 고 | 카 키 쿠 케 코 |
サ シ ス セ ソ | 사 시 스 세 소 | 사 시 스 세 소 |
タ チ ツ テ ト | 다 지 쯔 데 도 | 타 치 쯔 테 토 |
ナ ニ ヌ ネ ノ | 나 니 누 네 노 | 나 니 누 네 노 |
ハ ヒ フ ヘ ホ | 하 히 후 헤 호 | 하 히 후 헤 호 |
マ ミ ム メ モ | 마 미 무 메 모 | 마 미 무 메 모 |
ヤ イ ユ エ ヨ | 야 이 유 에 요 | 야 이 유 에 요 |
ラ リ ル レ ロ | 라 리 루 레 로 | 라 리 루 레 로 |
ワ (ヰ) ウ (ヱ) ヲ | 와 (이) 우 (에) 오 | 와 (이) 우 (에) 오 |
ン | ㄴ | |
ガ ギ グ ゲ ゴ | 가 기 구 게 고 | 가 기 구 게 고 |
ザ ジ ズ ゼ ゾ | 자 지 즈 제 조 | 자 지 즈 제 조 |
ダ ヂ ヅ デ ド | 다 지 즈 데 도 | 다 지 즈 데 도 |
バ ビ ブ ベ ボ | 바 비 부 베 보 | 바 비 부 베 보 |
パ ピ プ ペ ポ | 파 피 푸 페 포 | 파 피 푸 페 포 |
キャ キュ キョ | 갸 규 교 | 캬 큐 쿄 |
ギャ ギュ ギョ | 갸 규 교 | 갸 규 교 |
シャ シュ ショ | 샤 슈 쇼 | 샤 슈 쇼 |
ジャ ジュ ジョ | 쟈 쥬 죠 | 쟈 쥬 죠 |
チャ チュ チョ | 쟈 쥬 죠 | 챠 츄 쵸 |
ニャ ニュ ニョ | 냐 뉴 뇨 | 냐 뉴 뇨 |
ヒャ ヒュ ヒョ | 햐 휴 효 | 햐 휴 효 |
ビャ ビュ ビョ | 뱌 뷰 뵤 | 뱌 뷰 뵤 |
ピャ ピュ ピョ | 퍄 퓨 표 | 퍄 퓨 표 |
ミャ ミュ ミョ | 먀 뮤 묘 | 먀 뮤 묘 |
リャ リュ リョ | 랴 류 료 | 랴 류 료 |
제1항 - 촉음
[edit | edit source]- 촉음(促音) [ッ]는 'ㅅ'으로 통일해서 적는다.
- サッポロ 삿포로
- トットリ 돗토리
- ヨッカイチ 욧카이치
제2항 - 장모음
[edit | edit source]-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 キュウシュウ(九州) 규슈
- ニイガタ(新潟) 니가타
- トウキョウ(東京) 도쿄
- オオサカ(大阪) 오사카
- 가타카나에서 장음부호로 적히지 않은 것은 별도의 음절로 간주한다.
- トウ 도우
- トー 도
제3항 - 관용표기
[edit | edit source]- 역사적으로 쓰이던 관용표기를 허용한다.
- 豊臣秀吉 풍신수길
- 大阪 대판
류큐어
[edit | edit source]아이누어
[edit | edit source]중국어
[edit | edit source]이곳에서는 보통화(普通話)를 뜻한다.
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성모(聲母) | |||||||||||
---|---|---|---|---|---|---|---|---|---|---|---|
음의 분류 | 주음 부호 |
한어 병음 자모 |
웨이드식 로마자 |
한글 | 음의 분류 | 주음 부호 |
한어 병음 자모 |
웨이드식 로마자 |
한글 | ||
중순성 (重脣聲) |
ㄅ | b | p | ㅂ | 설면성 (舌面聲) |
ㄐ | j | ch | 지 | ||
ㄆ | p | p' | ㅍ | ㄑ | q | ch' | 치 | ||||
ㄇ | m | m | ㅁ | ㄒ | x | hs | 시 | ||||
순치성(脣齒聲) | ㄈ | f | f | ㅍ | 교설첨성 (翹舌尖聲) |
ㄓ | zh[zhi] | ch[chih] | ㅈ[즈] | ||
설첨성 (舌尖聲) |
ㄉ | d | t | ㄷ | ㄔ | ch[chi] | ch'[ch'ih] | ㅊ[츠] | |||
ㄊ | t | t' | ㅌ | ㄕ | sh[shi] | sh[shih] | ㅅ[스] | ||||
ㄋ | n | n | ㄴ | ㄖ | r[ri] | j[jih] | ㄹ[르] | ||||
ㄌ | l | l | ㄹ | 설치성 (舌齒聲) |
ㄗ | z[zi] | ts[tzŭ] | ㅉ[쯔] | |||
설근성 (舌根聲) |
ㄍ | g | k | ㄱ | ㄘ | c[ci] | ts'[tz'ŭ] | ㅊ[츠] | |||
ㄎ | k | k' | ㅋ | ㄙ | s[si] | ss[ssŭ] | ㅆ[쓰] | ||||
ㄏ | h | h | ㅎ | ||||||||
운모(韻母) | |||||||||||
음의 분류 | 주음 부호 |
한어 병음 자모 |
웨이드식 로마자 |
한글 | 음의 분류 | 주음 부호 |
한어 병음 자모 |
웨이드식 로마자 |
한글 | ||
단운 (單韻) |
ㄚ | a | a | 아 | 복운 (複韻) |
ㄞ | ai | ai | 아이 | ||
ㄛ | o | o | 오 | ㄟ | ei | ei | 에이 | ||||
ㄜ | e | e | 어 | ㄠ | ao | ao | 아오 | ||||
ㄝ | ê | e | 에 | ㄡ | ou | ou | 어우 | ||||
ㄧ | yi(i) | i | 이 | 부성운 (附聲韻) |
ㄢ | an | an | 안 | |||
ㄨ | wu(u) | wu(u) | 우 | ㄣ | en | en | 언 | ||||
ㄩ | yu(u) | yü(ü) | 위 | ㄤ | ang | ang | 앙 | ||||
ㄥ | eng | eng | 엉 | ||||||||
권설운(捲舌韻) | ㄦ | er(r) | erh | 얼 | |||||||
결합운모(結合韻母) | |||||||||||
제치류 (齊齒類) |
ㄧㄚ | ya(ia) | ya(ia) | 야 | 합구류 (合口類) |
ㄨㄚ | wa(ua) | wa(ua) | 와 | ||
ㄧㄛ | yo | yo | 요 | ㄨㄛ | wo(uo) | wo(uo) | 워 | ||||
ㄧㄝ | ye(ie) | yeh(ieh) | 예 | ㄨㄞ | wai(uai) | wai(uai) | 와이 | ||||
ㄧㄞ | yai | yai | 야이 | ㄨㄟ | wei(ui) | wei(uei, ui) | 웨이(우이) | ||||
ㄧㄠ | yao(iao) | yao(iao) | 야오 | ㄨㄢ | wan(uan) | wan(uan) | 완 | ||||
ㄧㄡ | you(ou, iu) | yu(iu) | 유 | ㄨㄣ | wen(un) | wen(un) | 원(운) | ||||
ㄧㄢ | yan(ian) | yen(ien) | 옌 | ㄨㄤ | wang(uang) | wang(uang) | 왕 | ||||
ㄧㄣ | yin(in) | yin(in) | 인 | ㄨㄥ | weng(ong) | weng(ung) | 웡(웅) | ||||
ㄧㄤ | yang(iang) | yang(iang) | 양 | 촬구류 (撮口類) |
ㄩㄝ | yue(üe) | yueh(ueh) | 위에 | |||
ㄧㄥ | ying(ing) | ying(ing) | 잉 | ㄩㄢ | yuan(üan) | yuan(uan) | 위안 | ||||
ㄩㄣ | yun(ün) | yun(un) | 윈 | ||||||||
ㄩㄥ | yong(iong) | yung(iung) | 융 |
- [ ]는 단독 발음될 경우의 표기임.
- ( )는 자음이 선행할 경우의 표기임.
광둥어
[edit | edit source]국립국어원에서 규정한 외래어 표기법에 광둥어 표기법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필요에 의해 자체규정한다.
한글 대조표
[edit | edit source]자음 | 반모음 | ||||||||||||||||||||||
---|---|---|---|---|---|---|---|---|---|---|---|---|---|---|---|---|---|---|---|---|---|---|---|
j | |||||||||||||||||||||||
월병 | b | p | m | f | d | t | n | l | g | k | ng | h | z | c | s | gw | kw | ||||||
IPA | [p] | [pʰ] | [p̚] | [m] | [m̩] | [f] | [t] | [tʰ] | [t̚] | [n] | [l] | [k] | [kʰ] | [k̚] | [ŋ] | [ŋ̩] | [h] | [ts] | [tsʰ] | [s] | [kʷ] | [kʷʰ] | [j] |
한글 | ㅂ | ㅍ | ㅂ | ㅁ | 음 | ㅍ | ㄷ | ㅌ | ㅅ | ㄴ | ㄹ | ㄱ | ㅋ | ㄱ | ㅇ/응 | 응 | ㅎ | ㅈ/즈 | ㅊ/츠 | ㅅ/스 | 구 | 쿠 | 이 |
모음 | w | ||||||||||||||||||||||
월병 | aa | aai | aau | a | ai | au | e | ei | eu | i | iu | ou | o | oi | oe | eo | eoi | u | ui | yu | |||
IPA | [aː] | [aːi] | [aːu] | [ɐ] | [ɐi] | [ɐu] | [ɛː] | [e] | [ei] | [ɛːu] | [iː] | [iːu] | [ou] | [ɔː] | [ɔːy] | [œː] | [ɵ] | [ɵy] | [o] | [uː] | [uːy] | [yː] | [w] |
한글 | 아 | 아이 | 아우 | 아 | 아이 | 아우 | 에 | 에 | 에이 | 에우 | 이 | 이우 | 오우 | ᄋᆞ | ᄋᆞ이 | 외 | 어 | 어이 | 오 | 우 | 우이 | 위 | 우 |
제1항 - 반모음
[edit | edit source]- 'gw, kw, w, j'는 뒤따르는 운모와 합쳐서 적는다.
- 困難 콴난
- 音樂 얌응ᄋᆞᆨ
- 'wo'는 'ㅝ'로 적는다.
- 國王 궉웡
제2항 - 성조
[edit | edit source]- 성조는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