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Wp/jje/제주말

From Wikimedia Incubator
< Wp | jje
Wp > jje > 제주말
{{{일홈}}}
{{{자기일홈}}} (IPA: dze̞dʑumɐl)
[[file:{{{기림}}} |200px]]
씨는 나라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씨는 지역 제주특벨ᄌᆞ치도의 기 제주특벨ᄌᆞ치도전역
씨는 민족 한민족 제주인
언어 인구 약 5000-10,000멩[1]
글ᄌᆞ {{{글ᄌᆞ}}}
언어 계통 한국어족
 
첫 자부세 중세한국말
공용
공용어로 씨는 나라 제주특벨ᄌᆞ치도
제주시 한림읍 월림리[2][3]
표준 표준이 정헤지지 안음
ᄉᆞ투리 {{{ᄉᆞ투리}}}
언어 부호 jje (ISO-639-3)

제주말(濟州말)은 제주섬서 ᄀᆞᆯ아지는 말이다. 육지서는 제주ᄉᆞ투리렌도 불르주마는 학계서 제주말을 한국말광 ᄐᆞᆫ ᄒᆞ나의 말로 베렴시다. 알려진 제주말 화자수는 1만 멩이 제우 넘어가지난, 선제 엇어질 ᄀᆞ리에 잇다. 젊은 칭은 거줌 한국말ᄎᆞ록 뒌 제주말을 ᄀᆞᆮ는데, 이를 제주ᄉᆞ투리렌 ᄒᆞᆫ다. 제주말은 다시 산북ᄉᆞ투리왕 산남ᄉᆞ투리로 ᄂᆞ뉘여진다. 2010년, 유네스코서 4단졔 소멜위기언어로 ᄋᆢ겨졋다. 문ᄌᆞ는 한글을 가저당 쓰곡, 어순은 한국말광 ᄀᆞ찌 SOV꼴이다.Template:Wp/jje/Citation needed

제주말은 육지서는 더는 못 메맞는 한국말의 엿꼴을 하영 앚엉, 제주섬만의 낫말광 문법적 특성을 가졈시난, 표준말광 ᄐᆞ난 한국어족의 ᄒᆞ낳의 말로 ᄋᆞ겨진다.Template:Wp/jje/Citation needed

2016년 2월 3일, 제주시 한림읍 월림리서 김춘보이장의 주도로 제주말이 공용어로 지정뒈엿다.

글ᄌᆞ영 발음

[edit | edit source]

제주말은 한국어족에 속헴시멍, 한국말광 ᄐᆞ나게 모음 둘이 더 잇다. 어휘 및 훼화서 이제의 한국말광 하영 ᄐᆞ나다. 한국어족의 엿적 어휘를 앚엉시멍, 멧멧 닿소리가 한국말광 ᄐᆞ나게 발음뒌다.

닿소리

[edit | edit source]
입술소리 늬염소리 웃하늘소리 여린웃하늘소리 목고냥소리
Prosive 흐린소리 /b/ /d/ /ɡ/
거쎈소리 /pʰ/ /tʰ/ /kʰ/
더낀소리 /p˭/ /t˭/ /k˭/
ᄀᆞᆯ이소리 거쎈소리 /sʰ/ /h/
더낀소리 /s˭/
부뜨ᄀᆞᆯ이소리 흐린소리 /dz/
거쎈소리 /ts/
더낀소리 /ts˭/
콧소리 /m/ /n/ /ŋ/
세역소리 /l/
가차운소리 * /j/

제주말은 한국말광 ᄌᆞ음수가 ᄀᆞ뜨다. 제주말도 한국말광 답게 웃하늘소리로 뒌 닿소리가 잇엉, 특정 ᄌᆞ음(ㅊ, ㅈ, ㄴ, ㅎ)의 발음이 ᄐᆞ나지멍, 「ㅎ」의 경우 "ㅡ"의 앞착서는 [x](무성연구개마찰음) 소리 나는 것이 ᄀᆞ뜨다. 다음 ᄉᆞ항.

  • 「ㅎ」(히읗)은 「ㅣ」 앞착서 /ç/로 뒌다. 경ᄒᆞ고 "ㅡ" 앞서는 /x/로 뒌다.
  • 「ㅅ」(시옷)광 「ㅆ」(쌍시옷)은 "ㅣ" 앞착서 /ɕʰ/, /,ɕ˭/로 뒌다.
  • 「ㄴ」(니은)은 「ㅣ」 앞착서 /ɲ/로 뒌다.
  • 「ㅈ, ㅊ, ㅉ」(지읒, 치읓, 쌍지읒)은 「ㅣ」 앞착서 /dʑ/, /tɕʰ/로 뒌다.
  • 상기 ᄉᆞ항덜은 「ㅣ」계 이중모음덜(ㅑ, ㅕ, ㅛ, ㅠ, ㅖ, ㅒ, ᆢ)이 두이에 오는 것으로도 적용뒌다.

홀소리

[edit | edit source]

제주말은 10개의 홀소리가 잇다. 이는 한국말보담 두 개의 모음이 하다. 알착 표는 단모음이다.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ㅡㅜ
근고모음
중고모음
중저모음 ㅓᆞ
근저모음
글ᄌᆞ 일름 발음 베리기
[ɐ] 바당[bɐ.dɐŋ]
[e̞](←[ɛ]) 두루애[du.ɾu.e̞]
[ʌ] 어멍[ʌ.mʌŋ]
[e̞](←[e]) ᄀᆞᆷ세기[gɒm.se̞.gi]
[o] 오토미[o.tʰo.mi]
[u] 테우[tʰe.u]
[ɯ] ᄇᆞ름[bɒ.ɾɯm]
[i] 기[gi]
[ɨ] [nɨ]
ᄋᆞ [ɔ] ᄃᆞᆺ궤기[dɒt̚.gwe.gi]

알착 표는 이중 모음덜이다.

# 발음 단어
[wɐ] 와리다[wɐ.ɾi.dɐ]
[we̞]
[wʌ]
[wi] 하위염[hɐ.wi.jʌm]
[we] 웨다[we.dɐ]
[jɐ] 양[jɐŋ]
[je̞]
[jʌ] 여산쟁이[jʌ.sʰɐn.dʑe̞ŋ.i]
[je]
[jo]
[ju]
[jɒ] ᄋᆢᆨ다[jɒk̚.dɐ]

제주말모음은 시간 지나멍 여러 가지 변화가 이섯다. ᄋᆞ(ᆞ) 는 원래 /ɒ/여신디, 요즈음 젊은 사름덜 입에서는 /ɔ/로 발음뒈는 경향이 싯다. 이 발음은 몽골말의 О의 발음이다.

  • 항목

어휘 차이

[edit | edit source]

제주말은 한국어족의 고유 어휘덜이 하 이제의 한국말서 한ᄌᆞ말로 쓰이는 것도 제주말서는 한ᄌᆞ낫말이 아닌 것도 잇다.

제주말의 육하원칙
한국말 제주말
누가 누게
언제 어느제
어디서 어듸서
무엇을 무시거
어떻게 어떵
무사
한국말 제주말
처음 체얌
방법 내기
조금 ᄒᆞ썰
따뜻하다 ᄄᆞᄄᆞᆺᄒᆞ다
한국말 조ᄉᆞ 제주말 조ᄉᆞ
~로 ~드레
~에게 ~신디
~와/과 ~왕/광
~영/이영
~부터 ~부텀
~까지 ~ᄁᆞ장
한국어 어미 제주말 어미
~지요 ~ㅂ주
~할래 ~ᄒᆞ젠[4]
~ㅂ니다 ~ㅂ네다
~하세요 ~ㅂ서
~합시다 ~ᄒᆞ자게(마씀)
~하더랍니다 ~ᄒᆞᆸ데다

문법

[edit | edit source]

앞착서 서술ᄒᆞ여낫듯, 제주말은 한국말이영 ᄀᆞᇀ은 배치 순서를 가지고잇다. 특기ᄒᆞᆯ 것은 한국말서는 서로 붙지 안ᄒᆞ는 "가다"영 "오다"가 붙엉 "가오다"는 ᄐᆞ난 동ᄉᆞ가 멩글아진단 것이다.

노래 작품

[edit | edit source]

매체에서 등장

[edit | edit source]

각주

[edit | edit source]
  1. Moseley, Christopher (ed.). 2010.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3rd edn. Jeju. Paris, UNESCO Publishing.
  2. 2016년 2월 3일부텀 제주말을 공용어로 지정ᄒᆞ엿다.
  3. 네이버 기사
  4. 주로 인터넷 따우서 "하잰"식으로 족아지기도 ᄒᆞ주만 이게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