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jje/몽골 글ᄌᆞ
몽골 글ᄌᆞ(몽골말: ᠮᠣᠩᠭᠣᠯ
ᠪᠢᠴᠢᠭ᠌ 몽골 비치그[[[Template:Wp/jje/lang/도움말 링크|*]]], монгол бичиг)는 몽골말을 표시ᄒᆞ젠 멩글아진 ᄋᆢ라 표기 체계덜 가온듸 ᄒᆞ나다. 약간만 변경뒌 채로, 이것은 몽골말이영 예벤키말를 ᄌᆞᆨ기 위헤 오널날꺼정 중화인민공화국의 네몽골 ᄌᆞ치구서 사용뒈고 있다.
이 글ᄌᆞ는 위구르말 필경사인 타타르 통가가 멩글았다. 그는 1204년 경에 몽골이영 나이만의 전쟁서 몽골인덜신디 포로로 붙잡혔고, 그때 칭기스 칸이 그신디 몽골 언어를 위ᄒᆞᆫ 표기 체계를 멩글렌 했다. 시리아 글ᄌᆞ서 파생뒌 문ᄌᆞ이며 소그드 글ᄌᆞ를 거친 위구르 글ᄌᆞ를 고쳥 이 표기 체계를 멩글앗다. 이것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세로쓰기다. 이것은 왼착서 오른쪽 써나가는 멧 개 안뒈는 세로 쓰기 글ᄌᆞ덜 중의 ᄒᆞ나이다. 대부분의 세로 쓰기 표기 체계들이 오른쪽부텀 왼쪽으로 써나가주마는, 중세의 위구르 글ᄌᆞ영 그 파생 문ᄌᆞ덜(몽골 글ᄌᆞ, 오이라트 글ᄌᆞ, 만주 글ᄌᆞ 및 부랴트 글ᄌᆞ덜)은 왼착서 ᄂᆞ단착으로 써 나간다. 이것은 위구르인들이 중국의 표기 체계를 흉내내기 위해 그들의 글ᄌᆞ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켰기 때문이다.
1587년에, 아유쉬 구쉬가 티베트말, 중국말, 그리고 산스크리트말 ᄀᆞᇀ은 언어덜의 소리를 옮겨적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개의 문자들을 추가로 고안해 내었다. 이렇게 추가된 것은 ‘알리 갈리’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글ᄌᆞ
[edit | edit source]글ᄌᆞ덜은 단어 안서 체얌, 가온듸 혹은 끗에 위치ᄒᆞ느냐에 따라 모양이 ᄐᆞ나진다. 멫멫 경우에는, 추가적인 그래픽적인 변형덜이 잇게 뒈는데, 이것덜은 뒤따라오는 글ᄌᆞ영 시각적 조화를 얼마나 더 잘 이루는가에 따라 선택뒌다.
이 글ᄌᆞ(alphabet)는 서너개의 홀소리덜(o/u, ö/ü, 끝위치의 a/e)과 자음덜(t/d, k/g, 때때로 ž/y)을 구분할 수 엇인데 , 이것은 위구르말서는 필요ᄒᆞ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영어의 상황에 어느 정도 견주어볼 수 잇인데, 영어서도 단지 5개의 글ᄌᆞ덜로 10개 혹은 그 이상의 모음덜을 나타내고, 두개의 ᄐᆞ난 소리를 위해 이중음자 ‘th’를 사용ᄒᆞᆫ다. 이것 때문에 실제 사용에 있어서 혼동이 일어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문데, 그 이유는 모음 조화와 모음의 순서가 필요하다는 사실이 보통은 적절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글ᄌᆞ | 번역 | 참고 | ||||
---|---|---|---|---|---|---|
어두 | 어중 | 어말 | 라틴 글ᄌᆞ [1] | 키릴 글ᄌᆞ | ||
a | А | 모음 조화에 의거ᄒᆞ여 구별ᄒᆞᆷ(알착의 q/γ 및 k/g 을 참조) | ||||
un | Э | |||||
[2] | ar, yi | И,Й, Ы, Ь | 현재에는 단어 끝에서 흔히 앞 음절에 흡수됨. | |||
o, u | О, У | 맥락에 따른 구별. | ||||
ö, ü | Ө, Ү | 맥락에 따른 구별. | ||||
[4] | n | Н | 중간과 끝 a/e의 모음 순서의 위치에 따른 구별. | |||
ng | Н, НГ | 단어의 끝에만 쓰임(복합어의 중간에도 쓰임). 티베트어의 ང 및 산스크리트어의 ङ를 옮겨적음. | ||||
b | Б, В | |||||
x | П | 몽골어 단어들의 처음부분에만 쓰임. 티베트어의 པ를 표기; | ||||
q | Х | 후설 모음들과만 쓰임. | ||||
γ | Г | 후설 모음들과만 쓰임. 모음들 사이에서 오늘날으 장모음(long vowel)으로 발음됨.[6] | ||||
k | Х | 전설 모음들과만 쓰인다. 오늘날 모음 사이의 g 는 장모음으로 발음된다.[7] | ||||
g | Г | |||||
m | М | |||||
l | Л | |||||
s | С | |||||
š | Ш | 이 글자의 발음은 바뀌지 않았다. | ||||
t, d | Т, Д | 맥락에 따른 구별. | ||||
č | Ч, Ц | 원래는 /tʃ'/ 와 /ts'/사이의 구별이 없었다. 현재는 맥락에 따라 구별된다. | ||||
ǰ | Ж, З | 맥락에 따른 구별, 원래는 흔히 아래의 y와도 바꿔쓸 수 있었다. | ||||
y | Е, Ё, И, Ю, Я | 이중 모음덜의 일부.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자음이다. | ||||
r | Р | 보통은 단어의 앞착에 오지 않는다.[8] | ||||
v | В | 산스크리트말의 व를 옮겨적는다. | ||||
f | Ф | 중세 몽골말서는 이 음을 사용ᄒᆞ지 않았다. | ||||
ḳ | К | 러시아말의 К를 옮겨적는다. | ||||
(c) | (ц) | 티베트말의 /ts'/ (ཚ) 및 산스크리트말의 छ를 옮겨적는다. | ||||
(z) | (з) | 티베트말의 /dz/ (ཛ) 및 산스크리트말 ज를 옮겨적는다. | ||||
(h) | 티베트말의 /h/ ཧ, ྷ 및 산스크리트말의 ह를 옮겨적는다. |
베리기
[edit | edit source]전통적인 형태덜 | 선데의 인쇄체 | 로마자: | |||||||||||||||||||||
|
파생뒌 글ᄌᆞ덜
[edit | edit source]토도 글ᄌᆞ
[edit | edit source]1648년에, 오이라트의 불교 승려 자야 판디트가 문어를 실제 발음에 더 가찹게 멩글고, 티베트말이영 산스크리트말를 더 쉽게 ᄌᆞᆨ을 수 있도록ᄒᆞᆯ 목적으로 이 변형뒌 문자를 멩글았다. 이 글ᄌᆞ는 1924년꺼정 러시아의 칼미크인덜이 사용헤신디, 그 해에 키릴 글ᄌᆞ로 대체뒈었다. 중회인민공화국의 신장서는, 오이라트 사름덜이 여전히 이 글ᄌᆞ를 사용ᄒᆞᆫ다.
바긴타라 글ᄌᆞ
[edit | edit source]또ᄐᆞ난 변형이 1905년에, 부랴트 수도승이었던 아그반 드로지에프가 개발ᄒᆞ였다. 이것은 모호성을 줄이고, 러시아어를 지원ᄒᆞ기 위ᄒᆞᆫ 것이었다. 하지만, 가장 중요ᄒᆞᆫ 변화는 위치에 따른 모양 변화덜을 제거ᄒᆞ는 것이었다. 몬딱ᄒᆞᆫ 글ᄌᆞ덜은 원래의 몽골 글ᄌᆞ서 중세에 변형된 것들을 기반으로 헹 멩글아졌다. 몇 년 뒤에, 아그반 드로지에프신디는 문자를 고안해 내는 일을 더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기금이 없었고, 그 때문에 많아야 십수개 정도의 책들만이 이 문자를 사용해서 인쇄되었다.
몽골 글ᄌᆞ의 유니코드 표기
[edit | edit source]유니코드의 몽골 글ᄌᆞ 범위는 U+1800 – U+18AF이다.[9] 이것은 몽골 글ᄌᆞ, 토도 글ᄌᆞ, 시버 글ᄌᆞ 경ᄒᆞ고 만주 글ᄌᆞ를 위ᄒᆞᆫ 글ᄌᆞ덜, 숫자덜, 다양한 구둣점을 포함ᄒᆞ며, 산스크리트말광 티베트 글ᄌᆞ를 위ᄒᆞᆫ 확장덜도 포함ᄒᆞᆫ다.
몽골말Template:Wp/jje/Ref label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180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U+181x | ᠐ | ᠑ | ᠒ | ᠓ | ᠔ | ᠕ | ᠖ | ᠗ | ᠘ | ᠙ | ||||||
U+182x | ᠠ | ᠡ | ᠢ | ᠣ | ᠤ | ᠥ | ᠦ | ᠧ | ᠨ | ᠩ | ᠪ | ᠫ | ᠬ | ᠭ | ᠮ | ᠯ |
U+183x | ᠰ | ᠱ | ᠲ | ᠳ | ᠴ | ᠵ | ᠶ | ᠷ | ᠸ | ᠹ | ᠺ | ᠻ | ᠼ | ᠽ | ᠾ | ᠿ |
U+184x | ᡀ | ᡁ | ᡂ | ᡃ | ᡄ | ᡅ | ᡆ | ᡇ | ᡈ | ᡉ | ᡊ | ᡋ | ᡌ | ᡍ | ᡎ | ᡏ |
U+185x | ᡐ | ᡑ | ᡒ | ᡓ | ᡔ | ᡕ | ᡖ | ᡗ | ᡘ | ᡙ | ᡚ | ᡛ | ᡜ | ᡝ | ᡞ | ᡟ |
U+186x | ᡠ | ᡡ | ᡢ | ᡣ | ᡤ | ᡥ | ᡦ | ᡧ | ᡨ | ᡩ | ᡪ | ᡫ | ᡬ | ᡭ | ᡮ | ᡯ |
U+187x | ᡰ | ᡱ | ᡲ | ᡳ | ᡴ | ᡵ | ᡶ | ᡷ | ||||||||
U+188x | ᢀ | ᢁ | ᢂ | ᢃ | ᢄ | ᢅ | ᢆ | ᢇ | ᢈ | ᢉ | ᢊ | ᢋ | ᢌ | ᢍ | ᢎ | ᢏ |
U+189x | ᢐ | ᢑ | ᢒ | ᢓ | ᢔ | ᢕ | ᢖ | ᢗ | ᢘ | ᢙ | ᢚ | ᢛ | ᢜ | ᢝ | ᢞ | ᢟ |
U+18Ax | ᢠ | ᢡ | ᢢ | ᢣ | ᢤ | ᢥ | ᢦ | ᢧ | ᢨ | ᢩ | ᢪ | |||||
노트
|
ᄀᆞᇀ이 베리기
[edit | edit source]각주
[edit | edit source]- ↑ 1974.(니콜라스 포페 지음. 1974. 《몽골어 문어 문법》 제3판. 워싱턴 대학)
- ↑ 닿소리 뒤착서 라틴 글ᄌᆞ로 i라고 나타냄.
- ↑ 홀소리 뒤착서 라틴 글ᄌᆞ로 yi라고 나타냄 드물게 ‘naim’(여덟) 또는 ‘Naiman’같은 예외가 있음.
- ↑ 음절 앞 부분에 쓰이는 글자(n-<모음>).
- ↑ 음절 뒤 부분에 쓰이는 글자(<모음>-n).
- ↑
예: qa-γ-an (대제(大帝), 칸) 은 qaan으로 축약됨. tsa-g-aan (희다)와 같은 몇 개의 예외들이 있음.
- ↑
예: de-g-er 는 deer로 축약된다. ügüi (아니오)같은 예외들이 존재한다.
- ↑ 옮겨적은 웨국 단어덜은 보통은 앞에 모음이 붙었다. 예: Русь (러시아)를 표기ᄒᆞ민 Oros가 뒈엇다.
- ↑ Unicode block U+1800 – U+18AF; Mongol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