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jje/국제 음성 기호
Template:Wp/jje/위키 Template:Wp/jje/문자 정보 섬네일|국제 음성 기호 (2020년 개정) [[Wp/jje/파일:IPA Kiel 2019 full kor Korean.pdf|섬네일|국제 음성 기호 (2019년 개정) 한국어판 (신지영 번역)]]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영국말: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1] 또는 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한다.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2] 언어학자 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다.[3]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 (기본) 문자, 구별기호, 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뉜다.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 모음과 자음으로 나눌 수 있다.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 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되기도 한다. 2005년에 확장된 후 거의 변하지 않은 지금의 형태는 107개의 기본 문자와 52개의 구별기호, 4개의 초분절요소로 구성되어 있다.[4]
국제 음성 기호는 주로 언어 발화 행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상(혀의 위치나 조음 방법, 단어나 음절 분절 등)만을 표현할 수 있게끔 되어 있지만[2], 국제 음성 기호 확장형을 통해서 의미와는 무관한 발화 현상(이갈기, 혀짧은 소리 등)도 기록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3]
이러한 국제 음성 기호는 유니코드 문자 U+0250~02AD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 ↑ Template:Wp/jje/서적 인용 (hb); Template:Wp/jje/ISBN (pb). “The acronym ‘IPA’ strictly refers…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But it is now such a common practice to use the acronym also to refer to the alphabet itself (from the phras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that resistance seems pedantic. Context usually serves to disambiguate the two usages.”
- ↑ 2.0 2.1 Template:Wp/jje/서적 인용 (hb); Template:Wp/jje/ISBN (pb)
- ↑ 3.0 3.1 Template:Wp/jje/서적 인용
- ↑ Script error: No such module "Wp/jje/citation/C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