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jje/마ᄂᆞᆼ

From Wikimedia Incubator
< Wp‎ | jje
Wp > jje > 마ᄂᆞᆼ

마ᄂᆞᆼ(한국말: 마늘, 蒜)은 세우리과의 여러헤ᄉᆞᆯ이풀이우다. 학명은 「Allium scorodorpasum」이우다.

중앙아시아왕 구라파 원산으로, 왓에 제베ᄒᆞ는 ᄋᆢ라이헤살이 식물이다. 따 소곱에 이신 비늘남댕이를 주로 요리에 ᄉᆞ용ᄒᆞ멍, 섶허곡 남댕이를 막는다. 맛은 자극적이지만, 구우민 메운 맛이 줄어들고 돌코롱ᄒᆞᆫ 맛이 난다. 마ᄂᆞᆼ에 들어 이신 알리인(Alliin)은 그 자체로는 냄새가 나지 않으나, 마ᄂᆞᆼ을 너을거나 다지민 알리인이 파궤되민서 알리신(Allicin)허곡 다이알릴 다이설파이드(Diallyl disulfide)가 셍기는데, 이러한 것들이 마ᄂᆞᆼ의 센 향을 멩글어낸다. 한지계 마ᄂᆞᆼ허곡 난지계 마ᄂᆞᆼ이 이시멍, 대체로 씨앗이 셍기지 안ᄒᆞ기 따문에 영양번식을 통ᄒᆞ여 제베ᄒᆞᆫ다.

오랜 역ᄉᆞ 동안 식용과 약용으로 제베뒈어 오랏다.

생태[edit | edit source]

비늘줄기는 크고 연한 갈색의 껍질 같은 잎에 싸여 있으며, 안쪽에 4-10개의 ᄌᆞᆨ은비늘줄기(마늘쪽)가 꽃줄기 주위에 돌려 붙어ᇝ다. 마ᄂᆞᆼ쪽은 등이 활추룩 굽고 3-4모가 졌으며, 붉은 갈색의 비늘잎으로 싸여 있고, 이 속에 새싹을 보호하고 있는 육질의 흰 부분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피침형으로 끝이 흔히 말리며, 밑동은 통 모양의 잎집이 되어 줄기를 감싼다. 7월에 잎 속에서 높이 60cm 정도의 꽃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그 끝에 1개의 큰 산형꽃차례가 달리고, 총포는 지랑ᄒᆞ며 부리처럼 뾰족하다. 꽃은 연한 홍자색을 띠며, 꽃 사이에 많은 무성아가 달리고, 꽃받침은 6조각으로 타원상피침형이며, 밧쪽의 것이 보다 크다. 수술은 6개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밑부분에 2개의 돌기가 있다. 비늘줄기영 잎·꽃줄기에서 특이한 냄새가 난다.

재배 역사[edit | edit source]

재배는 고대 이집트·그리스 시대부터이며, 근동서는 인도·중국·한국서 하영 재배한다. 유럽서는 지중해 연안에 보급되어 있고 아프리카에도 전파되었다. 중국에 전파된 것은 B.C. 2세기에 지금의 이란으로부터 도입되었다고 하며, 한국으로의 도입은 명확하지 않으나 고려시대의 <향약구급방>에 마ᄂᆞᆼ의 일종이 재배된 기록이 이신 것으로 보아 적어도 고려시대 혹은 그 이전부터 재배된 것으로 셍각된다. 단군신화에 나오는 곰이영 호랑이 설화에도 마ᄂᆞᆼ이 등장한다.

품종[edit | edit source]

육쪽마ᄂᆞᆼ[edit | edit source]

육쪽마ᄂᆞᆼ

한국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마ᄂᆞᆼ로서 4개의 큰 쪽이 돌려나듯이 붙고 그 중심부에 이신 짧은 줄기에 2-3개의 작은 쪽이 붙는다. 따라서 마ᄂᆞᆼ통은 약간 모가 난 부정형이 되며 마ᄂᆞᆼ쪽의 겉껍데기는 자줏빛을 띠는 것이 많다.

여러쪽마ᄂᆞᆼ[edit | edit source]

잎과 잎집이 가늘고 작은 쪽이 여러 개 생긴다. 마ᄂᆞᆼ쪽이 ᄌᆞᆨ앙 이용하기 불편하나, 잎을 이용하는 데에는 좋다.

장손마ᄂᆞᆼ[edit | edit source]

마ᄂᆞᆼ쪽이 10여 개나 되며 비교적 작고 껍질이 연하다. 마ᄂᆞᆼ장아찌를 담그는 데 적당하다.

난지형이영 한지형[edit | edit source]

마ᄂᆞᆼ은 생태적으로 온난한 지대에 적응된 난지형이영 한랭지에 적응된 한지형으로 구별된다. 난지형은 한지형에 비해 저온단일성이고 휴면기간이 짧으며, 8-9월에 재식하면 곧 싹이 나와 연말까지는 상당히 큰 마ᄂᆞᆼ으로 생장한다. 남해 연안이영 그 부근의 도서지방, 제주도에서 재배하는 마ᄂᆞᆼ이 이에 속한다. 한지형은 난지형에 비해 고온장일성으로 뿌리내림도 늦고 맹아도 늦어 대부분 연말까지는 지상맹아를 볼 수 없으며, 해동기부터 맹아가 생장한다. 대부분의 육쪽마ᄂᆞᆼ이 이에 속하고 내륙 및 고위도 지방에서 재배된다.

재배[edit | edit source]

마ᄂᆞᆼ은 ᄄᆞᄄᆞᆺ한 기후를 좋아하며 내한성은 파보다 약하다. 더위에도 약하여 6월 하순경에는 지상부가 마르고, 약 3개월간 휴면기에 들어간다. 파종 후 저온기를 경과하여야 비늘줄기의 비대가 촉진되므로 대개 10월 하순·11월 상순에 파종하는 데, 이보다 빨리 파종하여 연내에 지상부가 자라날 경우 추위에 약하게 된다. 봄에 파종할 경우에는 해동되자마자 파종해야만 비늘줄기가 알차게 성숙된다. 파종시에 복토를 얇게 하면 솟아 나왕 동해를 입으므로 약 2-3cm 가량 흙을 덮고 그 위에 두엄을 덮엉 보온하고, 이듬해 3월 중·하순에 벗긴다. 심는 거리는 이랑 너비 45cm에 2줄을 모아 넓은 사이 30cm, 좁은 사이 15cm 가량으로 헹 넓은 사이에 덧거름을 주고, 포기 사이는 9-10cm 정도로 한다. 번식은 보통 비늘조각에 의하나 주아(珠芽)를 배양헹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마ᄂᆞᆼ은 영양 번식에 의해 재배되므로 한 번 바이러스에 감염되민 계속해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을 심게 되어 생산량이 현격히 줄어든다. 토양은 유기질이 많으며 배수가 좋고 항상 적당한 수분을 지지는 점질양토가 적당하며, 마ᄂᆞᆼ왓은 비옥해야 하므로 잘 섞은 두엄을 하영 쓰고 덧거름은 4월 이전에 주어야 한다.

마ᄂᆞᆼ종[edit | edit source]

마ᄂᆞᆼ의 꽃줄기로서 연한 것은 쪄 먹기도 하고, 장아찌로도 멩글어 먹는다. 비타민C가 하영 함유되어 이서 동맥경화영 암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성분 및 이용[edit | edit source]

성분[edit | edit source]

수분 70%, 탄수화물 20%, 단백질 1.3%이며, 가식부의 무기물은 10,000분 중 회분 99, 칼륨 33, 칼슘 21, 마그네슘 5, 인산 5등이 들어 이시고, 비타민 B1, B2, C를 소량 함유한다. 마ᄂᆞᆼ 특유의 자극적 냄새영 매운맛은 알리신에 의하는데, 이는 전초(全草), 특히 비늘줄기에서는 알리인 상태로 존재하다가 세포가 죽거나 파괴되면 공존하는 효소 알리나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항균성 물질인 알리신으로 되는 것이다. 항균물질인 페니실린보다 그 효과가 강하다.

이용[edit | edit source]

비늘줄기는 양념으로 널리 애용되며, 구워 먹기도 하고 셍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또 마ᄂᆞᆼ종(꽃줄기)의 연한 것은 고추장속에 넣었다가 반찬으로 이용하고, 아직 여물지 않은 마ᄂᆞᆼ은 설탕·초·간장에 절여 마ᄂᆞᆼ장아찌를 멩근다. 약용주로 마ᄂᆞᆼ주를 담그기도 하며, 분말로 가공된 마ᄂᆞᆼ이 시판되고 있다. 생약의 호산은 비늘줄기를 말하며,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이뇨·거담, 살충·구충·건위 및 발한약으로 사용한다. 구미 각국에서도 소스·육가공 및 향신료로 널리 쓰이며, 세계에서 마ᄂᆞᆼ 소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이영 남아메리카 북부의 여러 나라이고 한국도 많은 편이다.

마ᄂᆞᆼ 주요 나라벨 셍산량[edit | edit source]

10대 마ᄂᆞᆼ 셍산 국가 (2013년)
나라 셍산량(톤) 각주
Template:CHN 19,168,800
Template:IND 1,259,000
Template:KOR 412,250
Template:EGY 234,164
Template:RUS 232,843
Template:BAN 224,000
Template:MYA 212,000 FAO 추정치
Template:UZB 203,585
Template:UKR 185,600
Template:USA 175,445
전 세계 24,285,303 A
A : 총계 (공식, 추정치, 일부 비공식 자료를 포함할 수 있음).
Source: UN Food & Agriculture Organisation (FAO)[1]

  1. Template:웹 인용